반응형

재테크 170

[예금/적금 추천] 연 이율 10% 카카오뱅크 저금통 : 잔돈 모으기 방법

| 예금, 적금 추천 : 연 이율 10% 카카오뱅크 저금통 | 카카오뱅크에 연 이율 10%의 예적금 상품이 있다 최대 금액이 정해져있기는 하지만 10% 이자를 주는 곳은 여기 밖에 없는 것 같다 카카오뱅크 어플에서 예적금에 들어가면 연 10% 이자를 주는 저금통 상품을 볼 수 있다 저금통은 카카오뱅크의 기본 계좌에서 남은 잔돈들을 자동으로 모아서 저축해주는 것이다 저금통에 얼마가 쌓여있는지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고, 필요할 때는 저금통 비우기를 통해 바로 돈을 사용할 수도 있다 금리가 높은 만큼 입금한도는 10만원으로 정해져 있고, 입금 방법은 우리가 원하는 금액을 넣는 것이 아니라 자동저축 서비스를 통해서만 입금이 가능하다 입금 방법은 2가지가 있는데 카카오뱅크 기본 계좌에서 1,000원 미만의 잔돈을..

[정보] 키움증권 영웅문S# 어플 모바일 OTP 등록 방법

| 키움증권 모바일 OTP 등록 방법 | 2022년 3월에 키움증권의 모바일 OTP 를 발급받은 적이 있어서 한 번 발급받으면 영원히 사용할 수 있는건 줄 알았다 그리고 외화 타사이체를 하려고 했는데 계속 모바일 OTP가 없다고 나와서 찾아보니까 핸드폰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다시 발급을 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한 번 발급이 됐다고 해서 끝이 아니었다 키움증권 영웅문S# 어플에서 뱅킹서비스 - 인증/서비스 - 인증/보안 으로 들어간다 이 부분을 발급받을 때 조금 헷갈렸다 모바일 OTP가 있고 OTP가 있는데 OTP 카드나 기기 실물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OTP 이용등록을 하면 되고, 아무것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모바일 OTP를 발급받으면 된다 나는 OTP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키움증권의 모..

[정보] 나무증권 모바일 OTP 등록 방법

| 나무증권 모바일 OTP 등록 방법 | 나무증권 어플에서 MY고객센터 - 인증센터 - OTP/보안카드에 들어간다 맨위의 검색 창에서 OTP 를 검색해도 된다 사용하고 있는 OTP 를 따로 가지고 있다면 OTP 이용 등록을 하면 되는데 나는 OTP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발급 수수료가 무료인 모바일 OTP를 발급받았다 발급하기를 누른다 그리고 개인정보를 입력한 후에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 사진을 촬영하면 된다 아주 간단하게 신청 절차가 완료되는데 발급 신청이 완료된 것일 뿐 모바일 OTP가 발급된 것은 아니다 신분증 위변조 모니터링을 한 후에 모바일 OTP를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고 한다 따라서 급하게 필요한 경우라면 증권사 업무 시간 내에 처리를 하면 될 것 같다 나는 평일 오전 9시에 신청했는..

[투자/환테크] 나무 증권 계좌 개설 방법 (feat. 토스, 카카오뱅크 증권 계좌 개설 이벤트)

| 나무증권 계좌 개설 방법 | 원래 키움증권으로 달러 투자와 엔화 투자를 병행했었는데 얼마전에 키움증권으로부터 환차익 목적의 엔화 반복 환전이 확인되었다며 1월 13일부터 95%의 환율 우대율 적용이 종료된다는 문자를 받았다 그래서 급하게 다른 환테크 방법을 찾아보다가 환율우대 100%를 해주는 나무증권을 개설하게 되었다 나무증권 자체 어플에서 바로 계좌를 개설해도 되지만 다른 어플을 통해서 우회해서 개설을 하게 되면 이벤트를 진행하는 곳을 많이 찾을 수 있다 찾아보다가 제일 괜찮은 2가지를 발견해서 이 중 현금으로 지급하는 토스를 이용해서 계좌를 개설하였다 1. 카카오뱅크 나무증권 개설 이벤트 : 10,000원 상당 주식 지급 카카오뱅크를 통해서 나무증권을 개설하면 10,000원 상당의 주식을 무료로..

[예금/적금 추천] 연 이율 3% 신한 한달애 저금통 월 Swing일 변경 방법

| 신한 한달애 저금통 월 Swing일 변경 방법 | 신한 한달애 저금통은 연 이율 3%로 지금 가입할 수 있는 다른 예금들이랑 비교했을 때 이율은 작은 편이지만 월 Swing일을 계속 변경해서 복리로 이자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상품은 1일에 3만원씩 저축하여 최대 30만원까지만 입금이 가능하다 원래 이 상품의 목적이 한 달 동안 30만원을 저축한 후 지정해놓은 월 Swing일에 원금과 이자를 입금시켜줌으로써 해지되는 것이 목적인 것 같은데 월 Swing일을 계속 수동으로 변경을 해주면 계속해서 원하는 기간만큼 이자를 받을 수가 있다 계좌 관리에 들어간다 월 Swing일을 누른다 기존에 1월 14일로 설정이 되어 있었는데 달력 모양을 누르면 설정할 수 있는 날짜가 나온다 현재 지정할 수 있는..

[정보] 토스 해외주식 100원 캐시백 이벤트 / 해외 결제 3% 캐시백 중복 혜택 불가능 주의

| 토스뱅크 해외주식 캐시백 이벤트 주의사항 | 해외주식 100원 캐시백 이벤트 토스뱅크 어플을 둘러보다가 토스뱅크 카드 이용 시 해외주식 캐시백이라는 새로운 이벤트가 생겨서 보자마자 바로 신청을 했었다 주의할 점은 무작정 이벤트를 신청하지 말고 이 이벤트를 신청할 경우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잘 고려해서 신청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2022년 11월 24일부터 2023년 2월 28일까지 토스뱅크 체크카드로 해외 결제를 할 경우 해외주식 100원을 캐시백해주는 이벤트가 새로 생겼다 신청을 할 때 받고 싶은 주식이나 ETF 3가지를 선택해놓으면, 해외 결제를 할 경우 즉시 그 3가지 중 1가지를 랜덤으로 토스증권 계좌로 주는 이벤트이다 - 5000원 이상 결제 : 해외주식 100원 캐시백 - 5000원 미만 결..

생활 꿀팁 2022.12.22

[재테크] 삼성증권 어플로 수시RP 매수 방법

| 삼성증권 수시 RP 매수 | 요즘 금리가 계속 인상되면서 2022년 11월 25일을 기준으로 삼성증권 수시형 RP형 금리가 2.5%에서 2.75%로 변경되었다는 안내 문자를 받았다 매월 투자를 목적으로 증권 계좌로 20만원을 이체해놓고 있는데 계좌에 이체한 금액을 수시 RP 매수를 해놓았다 메뉴 - 금융상품, 자산관리 - 채권/RP - 원화RP매매로 들어간다 달러를 RP 매수할 경우에는 바로 밑에 보이는 외화 RP 매매로 들어가서 똑같이 하면된다 위쪽의 매수와 매도를 헷갈리지 않고 매수를 누른다 약정 RP의 경우 기간이 길어질수록 금리가 더 높아지지만, 저 기간동안 놔두지는 않을 것 같아서 수시RP로 매수했다 2022년 12월 1일에 현재 가지고 있는 200,014원을 매수했다 기존에 가지고 있던 금..

[재테크] 케이뱅크 파킹통장 추천 : 금리 연 2.7% 플러스박스

| 재테크 : 케이뱅크 파킹통장 플러스박스| 파킹 통장 : 운행을 멈추고 잠시 차를 세워놓는 ‘파킹(parking)’처럼 주차하듯이 목돈을 은행에 잠시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통장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은행의 수시 입출금 통장은 연 0.1~0.2%(세전) 수준의 이자를 지급하지만, 파킹통장은 일정 금액 이상이 통장에 예치돼 있으면 연 1%를 넘는 금리를 지급한다. 또한 정기예금·적금과 달리 수시로 돈을 넣고 뺄 수 있는 것은 물론 예금자 보호법에 따라 5000만 원까지 원금 보장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파킹통장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예금이나 적금으로 돈을 묶어놓으면 입출금이 자유롭지 않기 때문에 평소에 생활할 때 사용하는 돈이나 투자용으로 사용하는 돈을 보관할 곳으..

[예금/적금] 케이뱅크 연 3.5% 에서 농협 은행 연 4.85%로 예금 갈아타기

| 재테크 : 예금 갈아타기 | 이자 비교 2022년 8월과 비교해서 고작 3개월 정도만 지났는데 금리가 엄청나게 달라졌다 8월에 3.5% 예금을 가입했을 때 이자가 29,610원이었는데 11월을 기준으로 4.85%의 예금을 가입했을 때 이자는 41,031원이길래 바로 기존 예금을 해지하고 새로운 예금 상품으로 갈아타기로 결정했다 새로운 상품을 가입했을 때 약 11,421원을 더 받을 수 있다 케이뱅크 3.5% 예금 해지하기 케이뱅크 코드K정기예금을 2022년 8월에 가입했고 당시에는 연 3.5%의 이율이었다 2022년 11월을 기준으로 똑같은 예금 상품이 연 4.6%의 이율로 변경되었다 오늘까지 약 2달 조금 넘게 가입을 해놨었는데 중도에 해지했을 때 받을 수 있는 이자는 세금을 제외하고 511원이었다..

[정보] 농협 입출금 통장 추천 : 수수료 면제 매직트리 통장

| 정보 : 농협 수수료 면제 입출금 통장 가입 | 농협 은행은 어릴 때 가입해놓은 농축협 은행 계좌만 가지고 있었다 농축협 은행과 농협 은행이 다른건지도 모르고 계속 쓰고 있다가 예금 가입을 하려고 보니 농축협 계좌는 가입이 불가능하다고 해서 농협은행 입출금 계좌를 급하게 만들었다 요즘은 어플을 사용해서 비대면으로 다 가능하기 때문에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업무를 처리할 수 있어서 편리한 것 같다 농협 은행 어플의 메인에서 금융상품몰에 들어간다 그러면 농협과 농축협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데 농협은행을 선택한다 입출금으로 들어간다 다양한 입출금 상품이 있는데 여기서 각자에게 맡는 상품을 선택하면 된다 나는 농협 은행을 주거래 은행으로 사용하지 않고 그냥 예금, 적금 계좌를 만들기 위해 입출금 계좌를 ..

반응형